가로 방향(Cross direction) : | 초지기상에서 지필이 주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, 즉 직각 방향(폭 방향)이며 흔히 CD로 약칭한다. |
 |
|
고해(Beating) :
| 펄프 섬유에 초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물속에 일정정도로 해리된 섬유를 기계적으로 절단하거나 미세섬유화하는 공정을 말한다. 고해 방식에는 유리상 고해와 점상고해가 있다. 유리상 고해는 섬유의 절단을 주로 하는 고해 방식으로 저농도에서 일반적으로 행한다. |
 |
|
고해도(여수도:Freeness) : | 펄프가 Wire에서 물이 빠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써 섬유의 종류, 성질, 고해 방법,고해정도에 따라 달라짐으로써 고해도를 알아보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. |
 |
|
광택도(Gloss) : | 광선을 정반사하는 물질 표면의 성질을 말하며 종이에서는 보통 75 O 의 입사광선에 대한 정반사 광량을 기준면에 대한 그것과 비교하여 그 비율을 %로 나타낸다. |
 |
|
내마모성 :
(Abrasion resistance) | 종이나 판지의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말하며 마모도 시험기로 측정한다. |
 |
|
내절강도 :
(Folding endurance) | 시험편을 일정한 장력을 주면서 접었다 폈다하여 종이가 끊어질 때까지의 횟수로서 정하는 종이의 절곡 저항강도를 규정하고 있다. 이 규격은 규정한 칫수의 시료에 135±5O의 각도로 계속 접었다 폈다하면서 끊어질 때까지 계속한다. |
 |
|
두께(Thickness caliper) : | 마이크로 메타로 0.55±0.05kg/cm2 압력으로 측정한 종이의 두께로서 1/1000mm로 표시함. |
 |
|
밀도( Bulk density) :
| 종이의 일정한 부피에 대한 두께, 즉 외형상의 비중으로써 비부피의 역수로 나타낸다.
밀도(g/cm3) = 평량(g/m2) / {두께(m/m) x 1000} |
 |
|
발수성(Water repellency): | 종이 표면이 물을 반발하는 성질, 왁스유화제, 실리콘 수지등을 표면 코팅함으로써 이와 같은 성질을 부여 할 수있다. |
 |
|
백색도(Whiteness) : | 종이 또는 펄프가 육안으로 희게 보이는 정도, 스펙트럼의 청색 부분의 광선(457±0.5nm)을 비추었을때 이에 대한 종이의 반사율를 계수적으로 표시한다. |
 |
|
불투명도(Opacity) : | 광선이 종이를 투과하지 않는 정도 |
 |
|
블록킹(Blocking) : | 상접하고 있는 지면이 습도 압력등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현상 |
 |
|
비인열강도(Tear factor) : | 종이나 판지의 인열강도를 평량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 수치
비인열강도 = 인열강도(g) x 100 / 평량(g/m2)
여기서 인열강도는 일정한 종이의 시편에 대해 칼로 찢어가는 데 소모되는 힘의 평균값으로서 "g"으로 나타낸다. |
 |
|
비파열강도(Tear factor): | 종이나 판지의 파열강도를 그 평량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수치
비파열강도 = 파열강도(kg/cm3) x 100 / 평량(g/m2)
여기서 파열강도는 일정한 면적의 종이를 그 면적에 균등하게 수직으로 압력을 주어 터트렸을 때 종이가 저항하는 힘을 kg/cm2로 표시한다. |
 |
|
사이즈(Size) : | 종이의 흡습성을 감소하고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여 종이 표면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품을 말하며, 이 약품을 싸이즈제라고 하고 이러한 작업을 싸이징이라 한다.
사이징에는 종이 표면에 사이즈를 도포하는 표면사이징과 지료중에 사이즈를 첨가하는 내첨사이징의 두종류가 있다. |
 |
|
세로 방향
(Machine direction) : | 초지기에서 지필이 주행하는 방향, 초지기 방향이라고도 한다. 보통 MD로 표시한다. |
 |
|
수분(Moisture) : | 펄프나 종이에 함유되어있는 수분 측정방법은 펄프는 100~105℃, 종이는 105±3℃에서 건조하여 항량에 도달했을때의 무게를 달아 감소된 량으로 정하며 수치는 시료무게에 대한 %로 나타낸다. |
 |
|
스테키히트 싸이즈도
(Stockigt sizing degree) : | 종이의 싸이즈도 표시의 일종으로 2%의 로단암모늄용액 위에 시편을 띄움과 동시에 시료위에 1%의 염화 제 2철 용액을 한방울 떨어뜨려서 시료에 붉은색 반점이 나타날때까지의 시간을 초수(秒數)로 나타낸다. |
 |
|
신장율(Elongation) : | 인장강도 시험기 등으로 종이에 하중을 걸어 실험했을때 종이가 절단된 시점에서 늘어난 정도를 말하며 원래의 시료치수에 대한 %로 나타낸다. |
 |
|
연(Ream) : | 일정한 규격으로 자른 종이의 500장 한묶음 |
 |
|
연량(Ream weight) : | 1연의 종이중량을 "kg"으로 표시한다. |
 |
|
열단장(Breaking length) : | 종이의 인장강도의 표시방법중 하나로서 인장강도는 일정한 폭의 (15mm)시험편이 끊어질때까지 저항한 강도를 말하며 (kg/15mm)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.
열단장 = 인장강도(kg) x 1000 / 평량(g/m2) x 시험편 너비(15mm) |
 |
|
이면(Back side) : | 종이를 초조할때 Wire에 접촉된 면을 말하며 표면보다 다소 거칠다. |
 |
|
지필(Web) : | 초지기에서 주행중이거나 또는 권취로 감은 종이로서 재단하지 않은 상태의 종이 |
 |
|
투기도(Air permeability) : | 종이가 공기를 투과시키는 정도. 일정조건하에서 일정량의 공기가 시험편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초(sec)로 표시한다. |
 |
|
평량(Basis weight) : | 종이의 단위 면적당 무게를 나타내는 것으로 m2당 g수로 나타낸다. |
 |
|
평활도(Smoothness) : | 종이 표면의 판판하고 매끄러운 정도. 벡크 평활도 시험기등으로 측정하여 초(sec)로 표시한다. |
 |
|
표면강도 :
(Surface strength) | 종이 표면의 섬유가 뜯기는데 대한 저항력. 보통 Pine wax로 실험한다. |
 |
|
픽킹(Picking) : | 인쇄할 때 잉크의 접착성이 너무 크던지 또는 종이의 표면강도가 부족하거나 코팅층의 기지와의 접착력 부족 등으로 인해서 종이 표면의 섬유나 안료가 뜯기는 현상 |
 |
|
핀홀(Pin hole) : | 종이에 있는 미세한 구멍들 |
 |
|
흡수도 :
(Water absorbency or water absorption degree) | 종이가 물을 흡수하는 정도 |
 |
|
흡유도 :
(Oil absorptiveness) | 종이가 인쇄잉크등을 흡수하는 정도 |